유니티/Tip

Unity MCP

어나더원 2025. 5. 8. 17:34

가끔 유니티를 하다 보면 'AI가 Capsule을 생성해서 거기에 Character Controller를 넣어주면 좋겠는데'와 같이

채팅만 치면 유니티 시스템을 이용해서 알아서 만들어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 적이 있습니다.

 

그런데 최근 이 생각이 점점 현실로 되어 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.

아직 초기 이긴 하지만요.

 

MCP (Model Context Protocol)은 LLM을 통해 외부 리소스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.

유니티에선 그냥 AI 채팅을 통해 유니티 내 기능들을 사용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근데 말했듯이 초기 단계라서 진짜 기본적인 것들만 가능하고 안 되는 것도 많습니다.


설치

 

준비물

그 다음에 MCP 패키지를 유니티에 추가해야 합니다.

  1. Window -> Package Manager
  2. 좌측 상단 + 모양 클릭
  3. Install package from git URL.. 클릭
  4. https://github.com/CoderGamester/mcp-unity.git 넣은 후 install

 


세팅

 

유니티 상단에 Tools -> MCP Unity -> Server Window 클릭하고 하단에

위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.

여기서 Configure Claude Desktop을 클릭합니다.

그러면 Success 창 뜨면서 설정이 완료됩니다.

더보기

가끔 설정이 적용이 안될 때도 있는데 그럴 경우엔

C:\User\사용자명\AppData\Roaming\Claude에 있는 claude_dekstop_config.json 파일을 열어서

위에 나온 Json 코드들을 복붙 해주면 됩니다.

 


실행

다시 Server Window에서 Start Server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서버가 시작됩니다.

 

그리고 Claude에서 AI에게 부탁합니다.


명령어 리스트

  • execute_menu_item : 어떤 특정 메뉴를 실행합니다. ( Point Light를 생성해 줘 )
  • select_gameobject : Hierarchy에서 오브젝트를 찾습니다. ( Main Camera를 찾아줘 )
  • update_component : component를 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. ( Sphere 오브젝트에 Character Controller를 추가하고 Height를 10으로 설정해줘 )
  • add_package : 특정 패키지를 찾아 설치해줍니다. ( URP 패키지를 추가해 줘 )
  • run_tests : Test Runner를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해줍니다. ( 내 프로젝트의 모든 EditMode를 테스트해줘 )
  • send_console_log : 유니티에 콘솔 메시지를 보냅니다.
  • add_asset_to_scene : Scene에 특정 에셋을 추가합니다. ( Player 프리펩을 내 씬에 추가해줘 )

 

  • unity://menu-items : execute_menu_item를 사용할 수 있는 메뉴 아이템들을 검색해줍니다. (GameObject와 관련된 메뉴 아이템들을 찾아줘 )
  • unity://hierarchy : hierarchy에서 오브젝트들 리스트를 뽑아줍니다.
  • unity://gameobject/{id} : hierarchy 내 오브젝트의 상세 정보를 알려줍니다. ( Player 오브젝트의 자세한 내용을 알려줘 )
  • unity://logs : 유니티 로그를 검색해줍니다. ( 최근 발생한 오류 메시지를 알려줘 )
  • unity://packages : 유니티에서 설치되었거나 이용 가능한 패키지를 알려줍니다. ( 이 프로젝트에 설치된 패키지들을 알려줘 )
  • unity://assets : Assets Database 내 에셋을 찾아줍니다. ( 모든 texture 에셋을 찾아줘 )
  • unity://tests/{testMode} : testMode로 Test Runnner를 실행합니다.